코인투자와 세금 (종료)

[ 코인 투자 ] 에어드랍 받은 코인을 나중에 팔면 어떤 세금이 붙는가?

13층 농부 2025. 6. 26. 09:17
반응형

가상자산을 투자해본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받아봤을 ‘에어드랍’.
처음엔 공짜로 받은 것 같아 기분이 좋지만, 시간이 지나고 팔려고 할 때
"이것도 세금 내야 하나요?"라는 고민이 생깁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어드랍 받은 코인을 나중에 처분할 때 과세 여부’에 대해
지금 기준에서 확인된 정보와 함께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

에어드랍 받은 코인을 나중에 팔면 어떤 세금이 붙는가?


✅ 에어드랍 받은 시점 vs 팔 때 시점

먼저 핵심은 이것입니다.
에어드랍 받은 시점에 과세 여부
그 이후 해당 코인을 처분했을 때의 세금서로 다른 과세 항목이라는 점입니다.

  • 에어드랍을 받는 순간
    → ‘소득세’ 혹은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음 (단, 2027년부터 예정)
  • 에어드랍 코인을 매도하는 순간
    → '양도소득세'가 적용될 수 있음

즉, 받을 때 한 번, 팔 때 또 한 번 세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죠.

>> 지난번 작성한 글입니다. '에어드랍을 받기만 해도 세금을 내야 하는가?' 참고해주세요.

 

에어드랍을 받기만 해도 세금을 내야 하는가?

가상자산 과세는 2025년 시행 예정이었다가, 현재는 2027년 1월 1일로 연기된 상태다. 따라서 에어드랍이 실제 과세되는 시점은 아직 시행 전이며, 향후 제도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이번 글에

journal4071.tistory.com


✅ 한국은 어떻게 과세할까? (2027년부터 시행 예정)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가상자산 과세가 2027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과세 구조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구분 내용
과세 대상 에어드랍, 가상자산 매매차익 등
보유 중 과세 시가 확인 + 처분 가능 시점 → 기타소득 (22%)
매도 시 과세 양도차익 계산 후 연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 20% (지방세 포함 시 약 22%) 과세
 

예를 들어, 에어드랍 받은 코인을 나중에 시세가 올랐을 때 매도한다면
받은 당시의 시가와 매도 시점의 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낼 수 있습니다.


✅ 해외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해외에서는 이미 에어드랍 매도 시 세금을 부과하는 체계가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 미국: 에어드랍 시점에 과세 + 처분 시 양도세 부과
  • 일본: 받은 시점에서 소득세, 매도 시에는 양도소득세
  • 독일: 1년 이상 보유 후 매도하면 면세 가능

이처럼 대부분의 국가는 에어드랍 받은 시점 + 처분 시점 모두를 과세 대상으로 보고 있어,
한국도 비슷한 흐름으로 제도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실전 준비 팁

  1. 기록은 반드시 남겨두자
    • 받은 날짜, 수량, 당일 시세 등을 기록해두세요.
    • 거래소에서 CSV나 PDF로 저장해두면 좋습니다.
  2. 장기 보유 전략을 고려해보자
    • 일부 국가는 보유 기간에 따라 면세 혜택을 주기도 합니다.
    • 한국도 향후 유사한 규정이 도입될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3. 세무 이슈 발생 전 상담받기
    • 코인을 많이 받았거나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면,
      처분 전에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 마무리하며

‘에어드랍은 공짜다’라는 인식은 이제 조금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은 과세 시행 전이지만,
2027년부터는 에어드랍을 받는 순간뿐 아니라
팔 때 발생하는 차익까지도 철저히 관리되고 과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준비는 ‘팔기 전’이 아니라 ‘받을 때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기록하고 정리하는 습관, 지금부터 하나씩 만들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