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투자와 세금 (종료)

[ 코인 투자 ] 에어드랍을 받기만 해도 세금을 내야 하는가?

13층 농부 2025. 6. 23. 09:40
반응형

가상자산 과세는 2025년 시행 예정이었다가, 현재는 2027년 1월 1일로 연기된 상태다. 따라서 에어드랍이 실제 과세되는 시점은 아직 시행 전이며, 향후 제도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에어드랍의 과세 기준, 해외 사례,
그리고 우리가 미리 준비해야 할 부분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에어드랍도 세금 낼까?

✅ 에어드랍, 정말 세금 내야 할까?

에어드랍은 특정 가상자산 프로젝트에서 홍보 또는 보상의 목적으로
사용자 지갑에 일정량의 코인을 무상 지급하는 행위다.

그런데 문제는 이 '공짜 코인'도 세금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국세청도 일정 조건에서 증여소득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의 과세 기준 (2027년 시행 예정)

구분 내용
시행 시점 2027년 1월 1일부터로 예정 
과세 대상 가상자산 매매차익, 에어드랍 등
과세 방식 기타소득으로 분류 → 연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 22% 과세
에어드랍 기준 시가가 확인되고, 실제 처분 가능성이 있을 경우 과세 대상
 

단순히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과세되는 것은 아니며, 국세청은 ‘시가가 명확하고, 실제로 처분 가능한 상태’일 때 과세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시장 가격이 확인되면 과세 가능성이 높아진다.

 

🌍 해외 사례는 어떨까?

국가 에어드랍 과세 기준
🇺🇸 미국 받은 시점의 시가 기준으로 소득세 부과
🇯🇵 일본 받은 시점에서 기타소득으로 과세
🇩🇪 독일 1년 이상 보유 후 매도 시 양도세 면제 가능
 

대부분 국가가 ‘받은 시점의 시가’를 기준으로 과세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도 유사한 방향으로 제도화될 가능성이 높다.

 

💡 지금 우리가 준비할 것 3가지

  1. 기록 습관 들이기
    • 언제, 어떤 방식으로 에어드랍을 받았는지 기록해두자.
  2. 시가 기준 파악하기
    • 거래소 상장 전후의 가격 변동을 기준으로 시가가 책정될 수 있다.
  3. 신고 의무 숙지하기
    • 국세청이 가상자산 전송 내역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준비가 필요하다.

 

✅ 마무리하며

아직 에어드랍 과세는 시행 전이지만, 2027년부터 법적 근거에 따라 적용될 예정이다. 앞으로 관련 법령이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으니, 국세청 안내와 입법 동향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반응형